 |
|
 |
ㆍ |
전기는 물기가 있을 때에 더욱 잘 통하게 되므로 젖은 손으로는 전기기구를 만지지 말아야 한다. |
 | |
|
 |
|
 |
|
 |
ㆍ |
한 개의 콘센트에 많은 전기기구를 연결하여 쓰면 한꺼번에 많은 전류가 흐르게 되어 화재의위험이 있습니다. | |
|
 |
|
 |
|
 |
ㆍ |
월1회 이상 시험단추를 눌러 정상적으로 작동되는지 확인하여, 누전시 발생될 수 있는 감전사고나 화재 등에 대비하여야 합니다. |
|
|
ㆍ |
누전차단기가 자주 동작한다고 해서 누전차단기를 제거하면 위험하니, 반드시 전기공사업체의 확인, 점검을 받은 후 안전하게 조치하여야 합니다. | |
|
 |
|
 |
|
 |
ㆍ |
플러그가 콘센트에 완전히 접속되지 않으면 접촉불량으로 과열되어 화재발생의 위험이 있습니다. |
|
|
ㆍ |
코드를 뽑을 때는 반드시 플러그를 잡고 뽑아야지 전선을 잡아당기 면 전선이 끊어지거나 합선이 될 우려가 있습니다. | |
|
 |
|
 |
|
ㆍ |
불량전기제품을 사용하면 누전이나 합선 등으로 인해 감전, 화재의 위험성이 높습니다. (전자 또는 "KS"표시품 사용) | |
|
 |
|
 |
|
ㆍ |
전기기구 외함 등을 통해 전류가 누설될 경우 누전차단기가 동작되어 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
|
|
ㆍ |
접지가 곤란할 경우에는 꽂음접속식 누전차단기를 구입·사용해야 합니다. | |
|
 |
|
 |
|
 |
ㆍ |
코드 |
|
|
|
닳아 해어지지 않고, 갈라지지 않도록 좋은 상태를 유지해야 합니다. |
|
|
|
차량통행지역에 두어도 안되고, 못이나 스테이플러 등으로 다른 물체에 고정시켜서도 -안되며 코드 위에 가구를 놓아서도 안됩니다. | |
|
 |
ㆍ |
플러그 |
|
|
|
각 콘센트에 적합한 타입의 플러그를 사용해야 한다. 방에서 2구 콘센트에 3핀 플러그를 사용하게 될 때 접지핀을 플러그로부터 분리 하면 안됩니다. (전기적 충격 위험 우려) 이에 대한 좋은 해결책은 2핀 어댑터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화재나 감전이 발생될 수도 있으므로 플러그가 콘센트에 잘 맞지 않을 때 억지로 끼우면 안됩니다. 플러그는 콘센트에 안전하게 삽입되어야하고 콘센트는 과부하가 되 어서는 안됩니다. | |
|
 |
ㆍ |
콘센트 |
|
|
|
콘센트에 플러그가 헐겁게 끼워져 있으면 과열로 인해 화재가 발생 할 수 있으므로 꼭 확인해야 한다. 파손된 것은 바꾸고, 쓰지 않는 콘 센트는 아이들이 손댈 수 없도록 커버를 해야 합니다. | |
|
 |
ㆍ |
누전차단기 |
|
|
|
누전차단기는 물과 전기가 접촉될 수 있는 모든 장소에서 사용되어 야하며, 월 1회 동작시험을 해야 합니다.
 | |
|
 |
ㆍ |
전구 |
|
|
|
전등설비에 적정한 와트량이 사용되었는지 모든 전구를 확인해야 하며, 적정 와트량보다 높은 전구는 바꾸어야 합니다. 만약 적정한 와트량을 모를 경우에는 제조회사에 확인하고, 헐겁게 끼워진 전구 는 과열될 수 있으므로 안전하게 끼워졌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
|
 |
ㆍ |
물과 전기는 상극 |
|
|
|
전기기구를 싱크대, 욕조와 같이 물이 있는 근처에 두지 말아야하며, 물 근처에서 사용되는 전기기구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플러그를 빼두어야 합니다. 전기기구가 물에 젖었을 때에는 플러그를 뽑고 전문 수리공의 점검을 받기 전까지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 |
|
 |
ㆍ |
오락/컴퓨터 설비 |
|
|
|
설비가 좋은 상태로, 잘 작동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배선, 플러그, 코드, 접속기 구에 갈라짐이나 손상이 없는지) | |
|
ㆍ |
차단기/퓨즈 |
|
|
|
차단기와 퓨즈는 회로에 맞게 적정규격이어야 합니다. 만약 적정규격을 모를 경우에는 전기기술자의 확인을 받아 규격표시를 합시다. 적정규격 외에는 어떠한 것도 사용하면 안됩니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