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동부의 구성]
 |
 |
|
전기가 최초로 공구에 전달되어 기계적인 힘으로 변환하기전까지의 구성요소. 모든 전동공구는 최초로 전기선(Cord)에 전기가 인입되어, 스위치를 통하여 인입된 전기가 통제되며, 스위치를 통한 전기는 카본 브러쉬(Carbon Brush)를 통하여 구동부(Motor)의 정류자에 전달되는데 이때 전기적인 힘이 물리적인 힘으로 바뀌어 회전자가 회전하게 된다. 카본 브러쉬 와 정류자가 접촉될 때 약간의 불꽃이 발생되나, 약간의 불꽃은 정상적인 작동상태에서도 항상 발생. | |
 |
 |
 |
|
회전자(Armature)와 고정자(Stator)로 구분되며 입력부의 카본 브러쉬가 회전자의 정류자에 접촉시 전기적인 힘이 물리적인 힘으로 변환된다.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의하여 전류(I)를 공 급하면, 철심에 코일을 권선한 고정자에서 자속(자기장, B)이 발생하게 되면 회전자인 아마츄어에서 힘(F)이 발생한다. 이것은 원심력에 의한 회전력이 발생하는데 이것으로 인하여 회전자가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구동부의 설계에 따라서 해당 공구의 출력, 소비전압 등이 정해진다. |
|
 |
 |
 |
|
구동부의 회전자가 회전이 되면 이를 동력전달부의 기어 등을 통하여 각 공구의 특성에 맞게 회전수를 조정할 수 있다. 이렇게 조정된 회전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사용되는 공구도 다수 있다. 그라인더, 드릴, 원형톱, 절단기류 등 출력부가 회전하며 작업을 하는 공구는 조정된 회전수만으로 동력전달이 된다.
| |
 |
 |
 |
|
앞에서 설명한 입력부, 구동부, 동력전달부를 고정시켜주는 케이스류를 뜻함. 외관부는 내부의 가공정도에 따라서 해당 공구의 작업 정밀성 및 내구성을 좌우하므로 매우 중요한 부위이다. 물론 작업안정성, 편리성을 좌우하는 부위이기도 하다. 외관부의 주요 구성요소는 몸통(Housing), 손잡이(Handle), 기어커버(Gear Cover), 인너커버(Inner Cover)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
 |
 |
 |
|
액세서리로 불리기도 하며, 연마지석, 절단지석, 다이아몬드 휠, 초경톱날, 햄머드릴비트, 햄머비트 등이 이에 포함된다. 특히, 액세서리 구입시 안전인증이 있는지, 믿을만한 메이커의 생산품인지를 확인하여야 한다. 액세서리의 품질에 따라서 작 업속도 및 사용공구의 내구성을 좌우하기 때문이다. | |